본문 바로가기
간단명료 경제

청년도약계좌 최대 5천만원이 내 손에!

by 은이스토리 2023. 6. 21.
728x90

1. 청년도약계좌란?

6월 23일까지 가입신청받는 적금입니다.
현시점으로 6월 21일(수)는 출생연도 끝자리
2,7에 해당하는 분들이 신청 가능하고,
6월 22일(목), 6월 23일(금)은 모두 가능합니다.
가입 신청 후 심사가 이루어지고,
가입이 가능한 분은 7월 10일부터 7월 21일 중
계좌개설이 가능합니다.
 

※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확정 금리 비교

청년도약계좌 실시 은행 : 
농협, 신한, 우리, 하나, 기업,
국민, 대구, 부산, 광주, 전북, 경남
(SC는 24년 출시 예정)
 

출처: 은행연합회

적금담보대출 가산금리:
본 적금을 담보로 대출 이용 시 
가산되는 금리는
기본금리+대출시점 확정 우대금리
+적금담보대출 가산금리로 결정됩니다.
 
기본금리가 가장 높은 은행:
농협, 신한, 우리, 하나, 기업, 국민(4.5%)
우대금리가 가장 높은 은행:
광주, 전북(1.7%)
최대 금리를 다 받는다고 가정했을 때:
농협, 신한, 우리, 하나, 기업,
국민, 광주, 전북, 경남(6%)
 
그러나 우대금리의 경우
급여이체, 카드실적, 최초거래 등
제한 사항이 생기므로 꼭 미리 확인하세요! 

728x90

2.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

가입 연령:

만 19세 ~ 만 34세
병역 이행 시 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까지는
연령 계산 시 미산입합니다. 
 

개인소득요건:

직전 과세기간(22년01월~22년12월)
총급여 6,000만 원 이하
정부기여금 O / 비과세 O
총급여 6,000만 원 초과 ~ 7,500만 원 이하
정부기여금 X / 비과세 O
*총급여 = 연봉에서 비과세소득을 뺀 금액
*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
  2,000만 원 초과 시 가입 제한됩니다.
 

가구소득요건: 

가입신청자 본인 포함 가구 소득원 합이
보건복지부에서 고시하는 기준 중위소득의
180% 이하를 충족해야 합니다.
가구원은 원칙적으로 등본 상 기재된
가족들을 기준으로 판단하지만,
가족 중 관계단절자, 실종자, 거주불명자 등은
추가 증빙서류 제출을 통해
가구원에서 제외할 수 있습니다.
*보건복지부 가구소득 기준

출처: 은행연합회

*가구원 예외사례 등은 서민금융진흥원
홈페이지에서 안내합니다.(https://www.kinfa.or.kr/)

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

www.kinfa.or.kr

 

3. 청년도약계좌 가입해야 하는 이유

1. 자유적립식 상품

월 70만 원의 최대 납입한도 안에서
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습니다.
만기가 5년으로 길다는 생각이 들 수 있지만,
중간에 납입이 없더라도 계좌는 유지됩니다.
 

2. 정부기여금 제공 및 비과세

개인소득 수준 및 본인 납입금에 따라
정부기여금이 매칭 지원되고
이자소득에 비과세 혜택이 제공됩니다.
일반적금으로 따졌을 때,
경우에 따라 최대 금리 연 7.68~8.86%
해당되므로 금리가 아주 높은 편이죠.
 

3. 고용지원 상품 동시가입 허용

청년내일저축계좌, 청년(재직자)내일채움공제,
지자체 상품 등이 동시가입 가능합니다.
그러나 청년희망적금은 만기 후
순차가입 가능하므로 확인하세요 :)
 

4. 중도해지

특별중도해지 사유에 해당하는
중도해지자에게는 본인납입금 외
정부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이 적용됩니다.
특별중도해지 사유가 해당되지 않는다면
정부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은 적용되지 않지만,
2개월 후 재가입할 수 있어요.
Tip. 급한 목돈이 필요하다면
적금을 해지하지 말고 적금담보대출
받는 것이 좋습니다. 은행에 문의하세요.
 

4. 청년도약계좌 꼭 하세요!

청년도약계좌는 앞으로 매월 신청을 받을
예정이지만, 금리의 변동에 따라 가입신청이
계속 이루어질지는 확언하기 어렵습니다. 
모두들 어려운 시기를 열심히 헤쳐나가고 있죠.
자유롭고 혜택이 많은 적금, 흔하지 않으니
가입 대상이시라면 꼭 신청하고
가입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.

728x90

댓글